더좋은 과외를 만드는 곳
작성자 : 더좋은과외 작성일 : 2021-09-03 조회 : 777
[한국대학신문 최규운 기자] 2022학년도 수시모집 교과전형과 종합전형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학교장추천전형의 변화다. 서울 상위 15개 대학 선발인원은 2021학년도 6283명, 2022학년도 5937명으로 지난해보다 346명 줄어들었다. 학교장추천전형은 전국 46개 대학에서 실시예정이고 전체 1만 1471명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 중앙대·한국외대·서울시립대·이화여대·경희대 = 지난해까지 추천전형이 없었던 한국외대와 서울시립대가 기존 학생부교과전형을 추천전형으로 변경했다. 중앙대는 학생부교과전형이었던 학교장추천과 학생부교과전형을 통합해 지역균형전형으로 변경했다. 전형요소나 수능 최저학력기준 유무로 보면 학교장추천전형보다는 학생부교과전형의 틀을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경희대는 기존의 학생부종합전형이었던 고교연계전형을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변경하면서 추천전형을 유지했다. 기존에 없었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도입했기 때문에 작년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예상된다. 이화여대는 고교별 추천인원을 5명에서 여학생수 5% 이내 최대 10명으로 변경된 내용을 제외하고 전년도 선발기준을 그대로 유지했다.
학생부교과성적을 정량적으로 반영하는 방법은 다양한 조건(아래 표 참조)들이 영향을 주게 된다.
시립대는 2021학년도까지 학생부교과전형에 적용된 수능 최저학력기준에서 자연계열의 기준이 상향 조정됐다. (아래 표 참조)
학생부교과전형이 추천전형으로 변경됐고 고교별 20명 이내 추천이 가능하다. 3학기 이상의 성적(단위수, 석차등급, 원점수가 기재돼 있어야 함)과 2017년 이후 국내 고등학교 졸업(예정)자에게 추천자격이 주어진다. 전형방법은(아래 표 참조) 교과 270점 (90%) + 출결봉사 30점 (10%)으로 평가해 선발한다.
경희대는 고교연계전형이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변경됐으며 선발인원이 전년도(750명)와 비교해 206명이 줄어든 544명을 선발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하고 자기소개서를 폐지했다. 추천자격은 졸업예정자로 고교별 인문계 2명, 자연계 3명, 예체능계 1명 추천 가능하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2개 영역 등급합 5 이내여야 하며 학생부교과 80 + 출결 10 + 봉사 10 으로 정량평가해 선발한다.
이화여대는 2021년 2월 이후 국내 고등학교 졸업자(2022년 2월 졸업예정자 포함)에게만 추천자격을 줄 수 있다. 학교장 추천인원은 3학년 1학기까지 5학기 이상의 성적을 취득한 학생으로 교교별 여학생수의 10% 이내로 최대 10명까지 추천이 가능하다.(작년 대비 5명 증가). 대부분의 학교가 적용하고 있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유일하게 적용하지 않는다.
■ 건국대·동국대·홍익대·숙명여대 = 지난해까지 건국대와 동국대만 추천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했다. 올해는 건국대와 동국대를 비롯해서 홍익대, 숙명여대 모두 추천전형으로 선발하며 건국대와 동국대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변경했다. 건국대는 작년까지 교과 30+서류 70에서 올해는 교과 100으로 변경하면서 자기소개서를 폐지했고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했다. 동국대는 서류 100에서 교과 60+서류 40으로 변경했고 작년과 동일하게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동국대의 경우 교과 60이 반영되지만 등급간 배점 차이가 적어 서류의 영향력이 더 클 전망이다.